# trigger
페이지 로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값을 직접 선택 또는 입력하지 않고,
지정된 이벤트 유형에 대해 일치하는 요소에 연결된 모든 핸들러 및 동작을 실행한다.
$('input').val("test").trigger("change");
👀 https://api.jquery.com/category/events/
# 조건문 undefined 체크할 때
if (typeof 변수 != 'undefined') {
//소스들
}
# 로드시 정보를 불러와야하는 상황에서 정보가 변하는 것이 보일 때
- 기본값 이후 변하는 값으로 바뀔 때
- 처음 선택자의 style을 display:none으로 지정 후 로드 후 빼버린다.
//아이프레임에서 이전 데이터가 보여서 딜레이 설정
setTimeout(() => {
$('선택자').attr('style', '');
}, 1000);
# php 에서 변수에 값을 지정하지 않을때 기본값으로 세팅
$변수명1 = $변수명2 ?? "들어갈 값";
unset(변수명2);
// 따라서 unset이 적용되면 "들어갈 값" 이 세팅된다.
// 필요한 부분에서만 $변수명2 값을 세팅하면 된다.
함수 안에서 전역 변수를 unset하면, 로컬 변수만 파괴됩니다. 호출한 환경에서 변수는 unset을 호출하기 전과 같은 값을 유지한다.
도움받은👀: https://extbrain.tistory.com/20
# 소켓
- 소켓을 보낼 때
socket.emit('event이름', msg);
- 소켓 받을 때
socket.on('event이름', 함수/값/변수)
+ 해당이벤트에서 함수나 값 또는 변수로 온것으로 조건문을 걸어 처리 할 수 있다.
+ 소켓을 받을 때나 보낼 때는 항상 소켓이 연결되어있는지 에 대한 조건문이 추가 되어야 한다.
# in_array
- 자료형 확인 여부 : TRUE로 설정하면, 배열 안에 값의 자료형도 확인한다.
- in_array(확인할 값, 배열,자료형 확인 여부 = FALSE)
if (!in_array($변수, ['값1', '값2', '값3'])) {
// 값1~값3이 $변수에 속하지 않을때 라는 조건문이 된다.
}
+ 참고로 js에서는 includes 사용
# require
- 자바스크립트의 모듈을 내보내거나 불러올 때 사용
- 불러올 때는 require 키워드를 이용하여 변수에 할당 할 수 있다.
- 내보낼 경우에는 내보낼 객체를 module.exports 에 할당해 주면 된다.
+ node.js 에서는 편하게 하던 일 인대 자스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.
참조한👀: https://www.daleseo.com/js-module-require/
# 테이블 tr height not working
- os 마다 다르나 아이폰에서 적용되지 않는 부분 확인
- 이유는 행의 높이가 셀보다 큰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.
- 따라서 셀에 높이 또는 패딩으로 높이를 맞추면 된다. (예: th, td)
# ios 디바이스에서 모달을 띄울경우 body의 scroll 막기
- 나의 경우에는 퍼펙트 스크롤바 라이브러리 사용
- 해당영역에 높이값 주기
참고👀: https://im-developer.tistory.com/201
'error &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) Callback & js #2311 (0) | 2023.11.15 |
---|---|
js) focus & Vue #2311 (0) | 2023.11.10 |
js) code short & infomation #2311 (0) | 2023.11.08 |
vue, react) infomation #2309 (0) | 2023.09.14 |
vue) :style background #2308 (0) | 2023.08.04 |